슬기로운 주식인(46)
-
로또 1등 당첨 확율은 약 800만분의 1, 어떻게 이런 계산이 나오지?
로또 1등 당첨 확율이 왜 1/8,145,060일까? 로또 1등 당첨 확률을 계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로또는 1부터 45까지의 숫자 중에서 6개의 숫자를 선택하는 복권입니다. 이 때, 1등 당첨을 위해서는 정확히 맞춰야 하는 숫자가 6개이기 때문에 가능한 조합의 수를 계산하여 확률을 구할 수 있습니다. 로또 번호 선택 가능한 전체 경우의 수: 45개 중 6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는 45 C 6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45 C 6 = 45! / (6! * (45-6)!) = 8,145,060 로또 1등 당첨을 위한 경우의 수: 당첨 숫자 6개를 맞추는 경우의 수는 1입니다. 확률 계산: 1등 당첨 확률은 1/8,145,060이 됩니다. 따라서, 한 회의 로또 복권에서 1등 당첨될 확률은 대략 800만분..
2023.12.03 -
한국 주식시장에 외국인 투자자가 많이 유입되면 무조건 좋은 것일까?
한국 주식시장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시장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여전히 외국인이 보기에 한국 주식시장은 아직도 많은 문제들이 있는데, 겸험이 부족한 개인투자자, 시장의 불투명성, 전문가와 개인투자자간의 연결 시스템 부족, 해외마케팅 능력 부족, 외국인이 알아보기에 쉬운 투자관련 영문정보 결여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되어 외국인 투자자가 많이 들어 온다고 해서 한국 주식시장에 무조건 좋은 일만 생길까요? 해외투자자가 증대되면 한국 주식시장에는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먼저, 해외투자자의 증대는 한국 주식시장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해외투자자는 주식시장에 자금을 투입하면서 시장에서 거래 가능한 주식의 수가 증가하고, 이는 주식의 매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도와..
2023.03.07 -
'PASSIVE INCOME' 이 단어를 알면 돈이 보인다. 돈 되는 부업03
active income vs passive income 능동적인 수익, 수동적인 수익? 이렇게 번역하면 뭔가 좀 어색합니다. 이걸 순우리말로 번역하는 것도 어려운 일일 거 같아서 그냥 저는 우리가 익히 아는 단어인 '주수익', '부수익'이라는 한자를 빌어서 번역할 수밖에 없네요. '액티브 인컴'은 쉽게 말해 월급이나 시급 받고 하는 고정적인 직업, 즉, 적극적인 자신의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서 생기는 수익을 말하는 것이고, '패시브 인컴'은 큰 노력이나 시간 투자 없이 생기는 부수익, 예를 들어 부동산 임대 수입, 투자 수익, 특허권 로열티 같은 걸 말합니다. 패시브인컴이 많이 생긴다면 좋겠지요 ^^ 'passive income' 이라는 검색어로 찾아보면 많은 정보들이 있습니다. 제가 찾은 사이트에서 이..
2023.03.06 -
'Hustle'이라는 단어를 알면 돈이 보인다 - 돈되는 부업 02. 요즘 뜨는 미국 부업 24가지
'side hustle'이라는 용어를 아시나요? 우리말로 '부업'이라고 해석하는 게 제일 좋을 거 같습니다. 미국의 어떤 사이트에서는 'side hustle'의 정의를 이렇게 내립니다. 'A side hustle is any type of employment undertaken in addition to one’s full-time job. A side hustle is generally freelance or piecework in nature, providing a supplemental income.' 즉, 풀타임으로 하는 일 외에 하는 다른 일인데, 주로 프리랜서나 일당이나 수수료 같은 것을 받는 일을 말합니다. 그러니 부업이라는 말이 어울릴 것 같네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주로 쓰는 '파트타임'이..
2023.02.21 -
2022년 신용평가점수 TOP 10 국가. 이 국가가 신용평가점수 1위가 된 이유는?
2022년 현재, S&P, Moody's, Fitch Ratings가 평가한 국가 중 신용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10개국 1위 룩셈부르크 (S&P: AAA, Moody's: Aaa, Fitch: AAA) 2위 스위스 (S&P: AAA, Moody's: Aaa, Fitch: AAA) 3위 노르웨이 (S&P: AAA, Moody's: Aaa, Fitch: AAA) 4위 덴마크 (S&P: AAA, Moody's: Aaa, Fitch: AAA) 5위 싱가포르 (S&P: AAA, Moody's: Aaa, Fitch: AAA) 6위 스웨덴 (S&P: AAA, Moody's: Aaa, Fitch: AAA) 7위 오스트리아 (S&P: AA+, Moody's: Aa1, Fitch: AA+) 8위 핀란드 (S&P: AA+..
2023.02.20 -
s&p,무디스, 피치 같은 신용평가기관은 100% 믿을만 한가? 신생 신용평가기관
신용평가기관은 왜 생겼고, 그들의 평가는 100% 믿을만한가? 경제기사를 조금 이해하는 분들은 S&P, Moody's, Fitch Ratings, DBRS Morningstar, 일본의 JCR 같은 신용평가기관을 종종 들어 봤을겁니다. 이런 신용평가기관은 주로 채무자의 채무 상환 능력을 평가하는 기관으로, 여러 이유로 인해 이러한 기관들이 생겨났습니다. 예를 들어, 금융시장에서 채무불이행위험을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이러한 기관들이 필요해졌습니다. 이들은 금융시장에 대한 전문지식과 업계 경험을 갖추고 있으며, 신뢰성 높은 신용평가를 제공하여, 금융 시장 참여자들은 채권 및 기타 금융상품에 대한 위험성과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신용평가기관이 일부 시기에서는 잘못된 평가를 내놓는 등 신뢰..
2023.02.20